[아름다운 우리말] 문화가 가리키는 쪽을 보다
중국(中國)이 세상의 중심이라고 믿는 때가 있었습니다. 중국의 문화가 세계의 표준이 되고, 중국의 영향 속에서 스스로의 문화를 발전시키는 것이 당연한 시기였습니다.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이라는 주제는 불교가 중국을 거쳐, 이 땅을 지나, 일본에 이르는 문화의 길과 방향을 보여주는 듯합니다. 그러나 이 문화의 방향은 일방향이 아닙니다. 문명의 중심은 계속 움직입니다. 물론 중국이나 로마가 서로 중심이라고 생각하던 시절도 있었지만 서로를 의식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문화의 중심 또는 문명의 힘은 움직였습니다. 근대 이후를 보면 이러한 움직임은 빠르고도 명확합니다. 인류의 역사에서 혁명이라고 부르는 시기는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수렵과 채취의 사회가 농업, 목축의 사회로 바뀐 것은 가히 혁명이었습니다. 잉여 생산과 정착 생활은 도시, 국가 등의 모습을 만들고 서로의 재산을 노리는 대규모 전쟁이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청동기와 철기의 발전도 이 시기의 중요한 모습입니다. 혁명이 일어난 것입니다. 이러한 농업혁명도 근본적으로는 인간의 힘에 의존하는 것이었기에 오랜 기간 극적인 변화를 이루지는 못했습니다. 극적인 변화는 인간을 기계가 대신하면서 일어납니다. 그런데 이 변화는 기존의 잉여생산과는 차원이 다른 것이었고, 기계 앞의 인간은 또 다른 차별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기계를 돌리기 위한 에너지 혁명도 일어났습니다. 석유, 전기, 원자력 등은 발전의 도구이자 위험성으로 자리합니다. 산업혁명이 일어난 것입니다. 산업혁명의 시작이었던 유럽, 그중에서도 영국은 막강한 문명의 중심으로 떠오릅니다. 해지지 않는 영국이 시작된 것입니다. 세상은 영국의 문화, 서양의 문화로 넘쳐납니다. 그러나 두 차례에 걸친 세계대전은 산업혁명의 속도와 모습을 바꿉니다. 영국을 비롯한 유럽 중심의 세계가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세계로 바뀌는 것입니다. 문화도 청바지, 할리우드와 코카콜라 등으로 대표되는 미국의 문화가 세계의 중심이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지금까지도 유지되고 있습니다. 군사력, 경제력, 문화력 모두 미국 중심의 세상입니다. 기술력이 중요해지면서 일본이 경제와 문화의 중심으로 떠오릅니다. 세계는 일본의 기술에 매료되어 전자제품을 비롯한 첨단제품과 애니메이션 등을 통한 일본 문화를 빠르게 받아들입니다. 동양의 문화가 다시 세상을 향하게 된 것입니다. 자원 중심의 세상에서 기술 중심의 세계로 바뀐 것입니다. 그리고 21세기를 맞으며 기술은 정보화를 낳습니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문화의 세기가 된 것입니다. 속도에 익숙하지 않았던 기존의 문명은 속도에 뒤처지며 문화의 중심에서 조금씩 멀어져 갑니다. 산업과 기술, 자원과 농업에서 정보의 흐름 속으로 문화의 중심이 바뀌게 된 것입니다. 한국이 세계 문화의 중심이 된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그러나 정보화 사회, 문화의 세기를 맞으면서 한국은 공간과 시간의 한계를 뛰어넘게 됩니다. 거의 동시에 한국의 문화를 세계가 즐길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입니다. 물론 차근차근 내공이나 실력을 쌓아왔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한국의 문화 산업은 인터넷망을 통해 빠른 속도로 세상을 만나고 있습니다. 이미 몇십 년 전에도 한국 드라마와 노래는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중동, 남미 등지에 한류의 바람을 일으켰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문화의 중심이라고 일컬어지는 미국이나 유럽에까지 문화의 영향력을 확대해 가고 있습니다. 이른바 K가 문화 현상이 된 것입니다. 그러나 문화는 움직입니다. 그리고 변화합니다. 그러기에 문화의 방향을 봐야 하는 것입니다. 언젠가는 한국문화의 시대를 과거라고 이야기하고 평가하는 시대가 올 것입니다. 어떤 평가를 받게 될 것인가? 어떻게 기억될 것인가? 그리고 다른 문화의 발전에 어떤 도움을 줄 것인가를 생각해 봐야 합니다. 한국 문화가 선한 영향력, 긍정적 세계를 향한 문화의 모습으로 새로운 방향을 가리킬 수 있기를 바랍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문화 세계 문화 한국 문화 문화 현상